|
용접·용단과 같은 화기 작업은 불꽃이 발생하는 고위험 작업으로, 가연성 자재가 산재한 건설현장에서는 작은 불티 하나가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강진소방서는 화재 예방을 위한 주요 안전수칙을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사전 예방 조치로는 ▲화재위험작업 승인 절차 이행 ▲소화기 및 비상경보장치 등 임시소방시설 적절 배치 ▲근로자 대상 화재예방 교육 실시 ▲화기 작업 시 화재감시자 배치 ▲가연성 물질의 안전한 보관 등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작업 중에는 ▲흡연 금지 ▲전기배선 과부하 방지 및 누전차단기 설치 ▲방화포 설치 및 가연물 제거 등 기본적인 안전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하며, 용접과 도장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화재 발생 시에는 즉시 주변에 “불이야”라고 외치며 알리고, 119에 신고한 뒤 초기 소화장비로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상구와 피난통로는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정용인 강진소방서장은 “작은 부주의가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작업 전·중·후 각 단계별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화재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며 “소방서는 지속적인 현장지도와 예방활동을 통해 군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규진 기자 kor74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