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국제 심포지엄서 전통어업 보전 모델 공유…후속사업 속도
검색 입력폼
광양시

광양시, 국제 심포지엄서 전통어업 보전 모델 공유…후속사업 속도

GIAHS 등재 아시아 지자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공동연구·기술교류 기반 마련

2025년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GIAHS(세계중요농업유산)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해 GIAHS 등재 아시아 지역 지자체와 전통어업 보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국저널뉴스]광양시는 11월 19일 서울 아미드 호텔에서 열린 ‘2025년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GIAHS(세계중요농업유산)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해 GIAHS 등재 아시아 지역 지자체와 전통어업 보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가 주최했으며,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한·중·일 농·어업 관계자, GIAHS 등재 지자체 실무진 등 약 100명이 참석해 각국의 보전 정책과 사례를 공유했다.

행사는 ▲개회식 및 기조연설 ▲한·중·일 파트너십 모델 발표 ▲한국 GIAHS 사례 발표 ▲ 라운드테이블 세션으로 이어졌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개막식 영상 축사에서 국제사회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농어업유산 보전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시의 의지를 전했다.

한·중·일 발표 세션에서는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한국의 대표적 전통어업 보전 사례로 소개되며 광양시의 국제적 위상과 브랜드 가치가 한층 높아졌다.

라운드테이블 세션에서 정승재 철강항만과장을 비롯한 실무단은 재첩잡이 손틀어업의 생태‧문화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보전 방향을 공유하고, 국내외 전문가 및 해외 지자체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향후 공동연구, 기술교류, 국제 홍보 등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세계어업유산 인증과 국제 심포지엄 참석은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의 국제적 위상을 더욱 높이는 계기”라며 “생태환경을 보전하는 동시에 시민과 어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현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확대해 광양 전통어업의 가치를 다음 세대에 온전히 전하겠다”고 밝혔다.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지역 생태와 전통어업 기술이 어우러진 지속가능한 어업으로, 2018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된 데 이어 2023년 7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됐다.

광양시는 경남 하동군과 함께 지난 10월 31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GIAHS 인증 수여식에 참석해 국제사회로부터 그 가치를 공식 인정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전통어업 보전·활용을 위한 후속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구축된 국제 네트워크를 활용해 공동연구와 해외 우수사례 교류 등 전통어업 보전 협력체계를 확대하는 한편, 재첩 자원 확대 정례화, 수질·생태환경 관리 강화, 하천·연안 환경 개선 등 생태 기반 보전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어촌공동체 역량 강화, 어업시범학교 지정, 시민 참여형 워크숍·포럼·생태 체험행사 운영 등 단계별 사업을 통해 전통어업 가치 확산에 힘쓰고, 재첩잡이 홍보관 조성, 전시·체험 프로그램 운영, ESG 기업 참여 확대 등 시민과 방문객이 전통어업의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사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주민·어민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특산품 브랜드를 고도화하고 체험 관광 연계 프로그램을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윤규진 기자 kor74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