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AI특위, 헬스케어 분야 3차 조찬간담회 개최

헬스케어 데이터·돌봄·에이전트 생태계까지 폭넓은 제언

윤규진 기자 kor741@hanmail.net
2025년 11월 18일(화) 14:32
‘제3차 AI기업 조찬간담회’ 현장사진
[한국저널뉴스]광주광역시의회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는 18일 오전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3차 AI기업 조찬간담회’를 개최하고 헬스케어 분야에서 AI 활용 전망과 현장의 애로사항, 제도적 과제를 집중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AI·의료·헬스케어 기업뿐 아니라 의료인·연구자·정책 담당자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의 애로사항과 정책 개선 필요사항을 폭넓게 교환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발제에 나선 박병훈 티쓰리큐(주) 대표는 DX–AX 전주기 공통플랫폼(AIOS)의 필요성과 도메인 특화 에이전트 전략을 설명하며, “전국 병원과 함께 LLM 기반 대화형 헬스케어 에이전트 실증을 하고 있지만 GMP·GS·의료기기 인증 등 인허가 장벽이 높아 상용화 과정에서 현실적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헬스케어 AI 경쟁력은 공통 에이전트가 아니라 ‘도메인 특화 에이전트’에서 나오며, 광주는 이를 위한 생태계(OS) 구축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AI 헬스케어 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제안과 우려도 제기됐다.

양국승 트래시스 대표는 “AI 중심도시 광주는 앞으로 데이터 중심도시로 전환해야 한다”며 “개인정보 규제로 인해 데이터 가공·정제·공유가 어려운 만큼, 광주가 가진 실증·규제프리 환경을 활용해 데이터 확보와 활용이 쉬운 정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김철현 이스트소프트 전략실장은 “광주가 의료–기업–병원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해야 한다”며 “병원·기업 간 사일로(Silo)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소통하는 간담회를 정례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송가람 라이프퓨쳐텍 대표는 “시민이 직접 활용하는 헬스케어 모델 실증이 필요하다”며 “고령화·병원 연결성·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과 기업의 연계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주완 전남대병원 교수는 “AI 헬스케어는 결국 시민이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구조가 핵심”이라며 “대형병원보다 지역의 1·2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실증과 시민 참여형 리워드 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박종형 맨인블록 대표는 “헬스케어에서 광주만의 대표 키워드를 설정해야 기업이 모인다”며 “인증·인허가 원스톱 지원체계(WMIT 벤치마킹) 구축과 대형 컨소시엄 참여를 시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도안 광주시 로봇가전의료산업과장은 “광주시는 생체이식형·뷰티·디지털헬스 등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공통 데이터·플랫폼·에이전트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1단계를 마무리했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숙경 AI+SPSS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의료데이터는 공유가 어렵기 때문에 광주 실증사업에 한시적·특례적 데이터 활용을 허용하는 입법이 필요하다”며 “AI 반도체·로봇제어 등 광주 특화 가능성이 높은 분야의 정책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서구의회 안형주 의원은 “헬스케어 AI가 효과를 내려면 지역 통합돌봄 체계와의 연계가 필수”라며 “어르신 돌봄, 장애인 지원, 정신건강 관리 등 지자체가 수행하는 돌봄 서비스를 AI 기반으로 전환해 맞춤형 건강·복지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수훈 위원장은 “헬스케어 분야는 AI가 시민의 삶을 가장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는 영역”이라며 “기업과 기관의 현장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광주형 AI 건강관리·통합돌봄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AI특위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광주 AI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조찬간담회를 계속 이어가고 있으며, 오는 21일에는 ‘미래모빌리티 분야의 AI 활용’을 주제로 4차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윤규진 기자 kor741@hanmail.net
이 기사는 한국저널뉴스 홈페이지(kjn.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jn.co.kr/article.php?aid=11328498462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8일 20:05:21